JDBC의 등장 이유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중요한 데이터는 대부분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한다.
문제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마다 커넥션을 연결하는 방법, SQL을 전달하는 방법, 그리고 결과를 응답 받는 방법이 모두 다르다는 점이다.
JDBC 등장 이전의 문제
- 데이터베이스를 다른 종류의 데이터베이스로 변경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사용 코드도 함께 변경해야 한다.
- 개발자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마다 커넥션 연결, SQL 전달, 그리고 그 결과를 응답 받는 방법을 새로 학습해야 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JDBC라는 자바 표준이 등장한다.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는 자바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자바 API다.
JDBC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를 쿼리하거나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자바가 이렇게 표준 인터페이스르 정의해 두었기 때문에 개발자는 이 표준 인터페이스만 사용해서 개발하면 된다.
그런데 인터페이스만 있다고해서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다. 이 JDBC 인터페이스를 각각 DB 벤더(회사)에서 자신들의 DB에 맞도록 구현해서 라이브러리로 제공하는데 이를 JDBC Driver라 한다.
JDBC의 등장으로 위의 2가지 문제점이 해결되었다.
- 문제 1 - 해결
- 애플리케이션 로직은 이제 JDBC 표준 인터페이스에만 의존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를 다른 종류의 데이터베이스로 변경하고 싶으면 JDBC 구현 라이브러리만 변경하면 된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데이터베이스로 변경해도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사용 코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 문제 2 - 해결
- 개발자는 JDBC 표준 인터페이스 사용법만 학습하면 된다. 한번 배워두면 수십개의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 개발자는 JDBC 표준 인터페이스 사용법만 학습하면 된다. 한번 배워두면 수십개의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 참고 - 표준화의 한계
- JDBC의 등장으로 위 2가지의 문제해결과 동시에 많은 것이 편리해 졌지만, 각각의 DB마다 SQL, 데이터 타입 등의 일부 사용법이 다르다. ANSI SQL이라는 표준이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인 부분만 공통화했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 페이징 SQL - 각각 사용법이 다름
- JDBC 코드는 변경하지 않아도 되지만 SQL은 변경해야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 참고 - JPA
- JPA를 사용하면 이렇게 각각의 DB마다 다른 SQL을 정의해야 하는 문제도 많은 부분을 해결할 수 있다.
JDBC와 최신 데이터 접근 기술
JDBC는 1997년에 출시 되어 오래된 기술이라서 사용하는 방법이 복잡하다. 그래서 최근에는 JDBC를 직접 사용하기 보다는 JDBC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존재한다.
- JDBC 사용방법
- JDBC 직접 사용
- SQL Mapper
- 장점
- JDBC를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도와준다.
- SQL 응답 결과를 객체로 편리하게 반환해준다.
- JDBC의 반복 코드를 제거해준다.
- 단점
- 개발자가 SQL를 직접 작성해야한다. (JPA 상대적 단점)
- 대표 기술
- Jdbc Template
- MyBatis
- 장점
- ORM 기술
- 개념
- ORM은 객체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매핑해주는 기술이다. 이 기술 덕분에 개발자는 반복적인 SQL을 직접 작성하지 않고, ORM 기술이 개발자 대신에 SQL을 동적으로 만들어 실행해준다. 추가로 각각 의 데이터베이스마다 다른 SQL을 사용하는 문제도 중간에서 해결해준다.
- 대표기술
- JPA, 하이버네이트, 이클립스링크
- JPA 는 자바 진영의 ORM 표준 인터페이스이고, 이것을 구현한 것으로 하이버네이트와 이클립스 링크 등의 구현 기술이 있다.
- 개념
SQL Mapper vs ORM 기술
SQL Mapper와 ORM 기술 둘다 각각 장단점이 있다.
- SQL Mapper
- SQL만 직접 작성할 줄 알면 나머지 번거로운 일은 SQL Mapper가 대신 해결해주고
학습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는다.
- SQL만 직접 작성할 줄 알면 나머지 번거로운 일은 SQL Mapper가 대신 해결해주고
- ORM 기술
- SQL 자체를 작성하지 않아도 되어서 개발 생산성이 매우 높아진다.
- 편리한 반면에 쉬운 기술은 아니므로 깊이있게 학습해야 한다.
JDBC DriverManager 연결 이해
'Spring > JD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DB 개념] 트랜잭션 - 동기화 (0) | 2024.07.26 |
---|---|
[Spring DB 개념] 트랜잭션 - 추상화 (0) | 2024.07.26 |
[Spring DB 개념] 트랜잭션 - 기존 방식의 문제점 (0) | 2024.07.26 |
[Spring DB 개념] 트랜잭션 (0) | 2024.07.17 |
[Spring DB 개념] 커넥션 풀과 데이터 소스 이해 (0) | 2024.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