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많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구조
- 프레젠테이션 계층
- UI와 관련된 처리 담당
- 웹 요청과 응답
- 사용자 요청을 검증
- 주 사용 기술: 서블릿과 HTTP 같은 웹 기술, 스프링 MVC
- 서비스 계층
- 비지니스 로직을 담당
- 주 사용 기술: 가급적 특정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순수 자바 코드로 작성
- 데이터 접근 계층
-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코드
- 주 사용 기술: JDBC, JPA, File, Redis, Mongo ...
순수한 서비스 계층
-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곳은 서비스 계층이다. 시간이 흘러서 UI와 관련된 부분이 변하고, 데이터 저장 기술을 다른 기술로 변경해도, 비지니스 로직은 최대한 변경 없이 유지되어야 한다.
- 이렇게 하려면 서비스 계층을 특정 기술에 종속적이지 않게 개발해야 한다.
- 이렇게 계층을 나눈 이유도 서비스 계층을 최대한 순수하게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 기술에 종속적인 부분은 프레젠테이션 계층, 데이터 접근 계층에서 가지고 간다.
- 프레젠테이션 계층은 클라이언트가 접근하는 UI와 관련된 기술인 웹, 서블릿, HTTP와 관련된 부분을 담당해준다. 그래서 서비스 계층을 이런 UI와 관련된 기술로부터 보호해준다. 예를 들어서 HTTP API를 사용하다가 GRPC 같은 기술로 변경해도 프레젠테이션 계층의 코드만 변경하고, 서비스 계층은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 데이터 접근 계층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술을 담당해준다. 그래서 JDBC, JPA와 같은 구체적인 데이터 접근 기술로부터 서비스 계층을 보호해준다, 예를 들어서 JDBC를 사용하다가 JPA로 변경해도 서비스 계층은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서비스 층에서 데이터 접근 계층을 직접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계층은 이 인터페이스에 의존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 서비스 코드의 변경 없이 JdbcRepository를 JpaRepository로 변경할 수 있다.
- 서비스 계층이 특정 기술에 종속되지 않기 때문에 비지니스 로직을 유지보수 하기도 쉽고, 테스트 하기도 쉽다.
- 정리하자면 서비스 계층은 가급적 비즈니스 로직만 구현하고 특정 구현 기술에 직접 의존해서는 안된다. 이렇게 하면 향후 구현 기술이 변경될 때 변경의 영향 범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 서비스 계층은 순수한 자바 코드로 작성하는게 좋다!
.
- 올바른 서비스 계층 코드의 작성법
- 서비스 계층은 순수해야한다
- 그래서 데이터 접근 계층에 JDBC 코드를 다 몰아두어야 한다.
- 이때 서비스에서 데이터 접근 계층은 인터페이스를 의존해야 한다
- 그래서 데이터 접근 계층에 JDBC 코드를 다 몰아두어야 한다.
- 서비스 계층은 순수해야한다
- 예외 누수의 문제
- 데이터 접근 계층의 JDBC 구현 기술의 예외도 서비스 계층에 오면 안된다.(SqlException)
- JDBC 반복 문제
- 유사한 JDBC 코드의 반복
- try~ catch ~ finally, Connection, PreparedStatment를 사용하고 매핑하고 close 등..
- 유사한 JDBC 코드의 반복
이후 트랜잭션 글에서 한단계씩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Spring > JD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DB 개념] 트랜잭션 - 동기화 (0) | 2024.07.26 |
---|---|
[Spring DB 개념] 트랜잭션 - 추상화 (0) | 2024.07.26 |
[Spring DB 개념] 트랜잭션 (0) | 2024.07.17 |
[Spring DB 개념] 커넥션 풀과 데이터 소스 이해 (0) | 2024.07.16 |
[Spring DB 개념] JDBC 이해 (0) | 2024.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