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록시를 도입하기 전에는 기존처럼 서비스의 로직에서 트랜잭션을 직접 시작한다.
프록시를 사용하면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객체와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서비스 객체를 명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트랜잭션 프록시가 트랜잭션 처리 로직을 모두 가져간다. 그리고 트랜잭션을 시작한 후에 실제 서비스를 대신 호출한다. 트랜잭션 프록시 덕분에 서비스 계층에는 순수한 비즈니즈 로직만 남길 수 있다.
스프링이 제공하는 트랜잭션 AOP
- 스프링이 제공하는 AOP 기능을 사용하면 프록시를 매우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 물론 스프링 AOP를 직접 사용해서 트랜잭션을 처리해도 되지만, 트랜잭션은 매우 중요한 기능이고, 전세계 누구
나 다 사용하는 기능이다. 스프링은 트랜잭션 AOP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능을 제공한다.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
면 트랜잭션 AOP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스프링 빈들도 자동으로 등록해준다. - 개발자는 트랜잭션 처리가 필요한 곳에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만 붙여주면 된다.
-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 스프링의 트랜잭션 AOP는 이 애노테이션을 인식해서 트랜잭션 프록시를 적용해준다.
AOP 테스트
- @SpringBootTest : 스프링 AOP를 적용하려면 스프링 컨테이너가 필요하다. 이 애노테이션이 있으면 테스트시 스프링 부트를 통해 스프링 컨테이너를 생성한다. 그리고 테스트에서 @Autowired 등을 통해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빈들을 사용할 수 있다.
- @TestConfiguration : 테스트 안에서 내부 설정 클래스를 만들어서 사용하면서 이 에노테이션을 붙이면, 스프링 부트가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빈들에 추가로 필요한 스프링 빈들을 등록하고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 TestConfig
- DataSource 스프링에서 기본으로 사용할 데이터소스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 추가로 트랜잭션 매니저에서도 사용한다.
- DataSourceTransactionManager 트랜잭션 매니저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
스프링이 제공하는 트랜잭션 AOP는 스프링 빈에 등록된 트랜잭션 매니저를 찾아서 사용하기 때문에 트랜잭션 매니저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두어야 한다.
- AOP 프록시 적용 확인
@Test
void AopCheck() {
log.info("memberService class={}", memberService.getClass());
log.info("memberRepository class={}", memberRepository.getClass());
Assertions.assertThat(AopUtils.isAopProxy(memberService)).isTrue();
Assertions.assertThat(AopUtils.isAopProxy(memberRepository)).isFalse();
}
실행 결과 - AopCheck()
memberService class=class hello.jdbc.service.MemberServiceV3_3$$EnhancerBySpringCGLIB$$...
memberRepository class=class hello.jdbc.repository.MemberRepositoryV3
- AopCheck() 의 실행 결과를 보면 memberService 에
EnhancerBySpringCGLIB.. 라는 부분을 통해 프록시(CGLIB)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emberRepository 에는 AOP를 적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프록시가 적용되지 않는다.
AOP 정리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 vs 프로그래밍 방식 트랜잭션 관리'
-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Declearative Transaction Managment)
-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 하나만 선언해서 매우 편리하게 트랜잭션을 적용하는 것을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라 한다.
-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는 과거 XML에 설정하기도 했다. 이름 그대로 해당 로직에 트랜잭션을 적용하겠다 라고 어딘가에 선언하기만 하면 적용되는 방식이다.
- 프로그래밍 방식의 트랜잭션 관리(programmatic transaction mangement)
- 트랜잭션 매니저 또는 트랜잭션 템플릿 등을 사용해서 트랜잭션 관련 코드를 직접 작성하는 것을 프로그래밍 방식의 트랜잭션 관리라 한다.
-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가 프로그래밍 방식에 비해서 훨씬 간편하고 실용적
- 프로그래밍 방식의 트랜잭션 관리는 스프링 컨테이너나 스프링 AOP 기술 없이 가단히 사용할 수 있다.
- 프로그래밍 방식 트랜잭션 관리는 테스트 시에 가끔 사용될 때는 있다.
정리
- 스프링의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 덕분에 비지니스 로직에서 트랜잭션 관련 코드를 제거할 수 있다.
- 개발자는 트랜잭션이 필요한 곳에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 하나만 추가하면 된다.
- 나머지는 트랜잭션 AOP가 자동으로 처리해준다.
'Spring > JD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예외 누수 문제 해결 (0) | 2024.08.09 |
---|---|
[Spring DB] 스프링 부트 리소스 등록 (0) | 2024.08.08 |
[Spring DB 개념] 트랜잭션 탬플릿 (0) | 2024.08.08 |
[Spring DB 개념] 트랜잭션 - 트랜잭션 매니저 동작 흐름 정리 및 정리 (0) | 2024.07.26 |
[Spring DB 개념] 트랜잭션 - 동기화 (0) | 2024.07.26 |